'모수'란? 예를 들어서 동전을 던졌을 때 앞이 나올 확률은 1/2이고, 주사위를 던졌을 때 각면의 숫자가 나올 확률은 1/6이다. 하지만 이 확률들은 논리적으로 그럴 것이라고 상상한 값이고, 현신에서는 실제로 이확률의 지배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방법이 없다. 결국 우리는 어떤 사건의 확률을 알기 위해 몇 번이고 시행을 반복하면서, 그 과정에서 얻은 관측 결과를 통해 추정을 해보는 것 이외에는 확률을 구해볼 방법이 없다. 또 예를 들어 동전을 100번 던졌을 때 앞면이 20번 나왔다고 해보자. 그러면 (100, 20)은 관찰값으로서 다음과 같은 수식을 가질 수있다. 여기서 이 θ를 '모수'라고 한다. 정규분포일 경우에는 아래처럼 기대값(평균)과 분산이 모수가 된다. 각 평균과 분산의 공식은 다음과..